조작적 조건화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으로, 어떤 반응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보상함으로써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서 선택적 보상이란 벌과 강화를 말한다.
반응행동과 조작 행동
반응행동은 고전적 조건화에서 사용된 반응과 같이 자극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유발된 반응으로, 침을 흘리는 행동이나 무릎 반사, 동공의 수축 등이 이에 속한다. 반면에 조작 행동은 어떤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닌 스스로 일어나는 행동, 혹은 자극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던 경우의 행동을 말한다. 즉, 조작 행동은 어떤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환경에 작용을 가하는 행동을 말하는 것으로 조작 행동으로 형성되는 조건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하는데, 유기체가 행하는 조작 행동은 결과에 따라 감소하기도 하고 증가하기도 한다.
스키너 상자
조작적 조건형성은 스키너 상자를 통해서 실험하여 증명되었다. 스키너 상자는 빈 상자 안에 지렛대가 하나 들어 있는 것으로, 이 지렛대는 먹이통과 연결되어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게 되어 있다. 이 상자를 가지고 실험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배고픈 상태의 흰 쥐를 스키너 상자에 넣음
2. 이렇게 배고픈 상태로 만드는 것을 박탈이라고 함
3. 흰 쥐는 스키너 상자에서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게 됨
4.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옴
5. 먹이와 지렛대 간의 상관관계를 알지 못하는 쥐는 다시 상자 안을 돌아다님
6. 또 우연히 지렛대를 누른 쥐는 먹이가 나오는 것을 보고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자주 하게 됨
7.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흰 쥐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온다는 사실을 학습하게 됨
이 실험에서 흰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먹이에 의해 강화된 것으로, 만약 지렛대를 눌렀을 때 먹이가 나오지 않았다면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게 어떤 행동을 한 후에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강화라고 한다.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강화를 조건화의 과정에서 '무조건자극'을 부여하는 것으로 명명했지만,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조건화의 과정에서 부여하는 '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는 것이다. 조작적 조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화가 중요하다.
강화이론
스키너는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한 결과가 스스로 유리하면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고 보았는데, 그 행동의 결과로 주어진 자극을 '강화인'이라고 했고, 이런 강화인은 일차적 강화인과 이차적 강화인으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일차적 강화인은 유기체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강화인으로 예를 들면 물이나 음식 같은 것이 되겠다. 당장 배고픈 유기체에 음식으로 만족을 주는 것으로써 바로 다음 행동을 도출할 수 있다. 반면에 이차적 강화인은 유기체의 행동을 바로 증가시키지 못하지만, 일차적 강화인과 연합하여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토큰이나 쿠폰이 이에 해당한다. 즉, 토큰이나 쿠폰으로 유기체를 강화할 수 있지만 그것은 유기체를 직접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강화가 된다는 것이다. 이차적 강화인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돈으로, 돈은 여러 종류의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화된 강화인이라고도 한다.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정적 강화는 선호 자극의 제공으로 유기체를 강화하는데, 교사가 학생들의 발표를 유도하기 위해 발표할 때마다 사탕을 하나씩 주거나 추가 점수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부적 강화는 혐오자극의 제거로 유기체를 강화하는 것으로, 화장실 청소를 하게 되어 있는 아이에게 '오늘 수업에 집중하여 참여하면 화장실 청소를 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이야기하여 아이가 수업에 집중하도록 했다면, 화장실 청소라는 혐오자극을 제거함으로써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는 행동을 증가시킨 것이 된다.
정적 처벌과 부적 처벌
조작적 조건화에서 어떤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때 선호 자극을 제거하거나 혐오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행동의 빈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강화와 대별되는 '약화(벌)'이다. 벌은 유기체 행동의 결과로 어떤 혐오자극을 제공하거나 선호 자극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수여성 벌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로 체벌을 들 수 있다. 반면에 선호 자극을 제거하는 벌은 박탈성 벌이라고 하며, 박탈성 벌은 그동안 받아오던 강화인을 제거하는 것과 같다. 박탈성 벌의 대표적인 예로 '타임아웃'이 있는데, 타임아웃은 어떤 학생이 교실을 시끄럽게 하는 경우, 그 학생만 일시적으로 교실 밖으로 추방하여 편하게 교실에서 앉아 공부할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으로 직접적인 혐오자극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선호 자극을 제거하는 것이다.
처벌을 적용할 때 주의점
처벌을 적용할 때의 주의점은, 유기체가 스스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기는 행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처벌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유기체는 그 행동이 틀린 행동이 아닐 수 있다고 믿는다는 것이다. 처벌에는 이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은 처벌받은 유기체가 다른 유기체에 공격적인 행동을 자주 보인다는 것이다. 혹은 거짓말과 정서 반응, 변명 등의 회피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처벌의 부작용은 다양한 측면으로부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하지만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처벌은 즉각적으로 제공할수록, 강도가 강할수록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인식이 보다 분명하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주어지던 벌이 없으면 부적 강화로 여길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문제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처벌을 제공해야 한다는 부수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행위와 처벌 간에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타당성이 강해야 한다는 점은 처벌이 목적하는 행동의 감소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라는 것이 대부분 심리학자의 관점이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벌을 제공하기보다는 제공하더라도 대안적 행동을 확실하게 제시하고, 선택의 필요성을 중립적으로 제안해야 할 것이다.
'심리학과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스탠퍼드 감옥 실험(루시퍼 이펙트)1 (0) | 2023.06.18 |
---|---|
심리학-바넘 효과 (0) | 2023.06.17 |
심리검사2 (0) | 2023.06.09 |
심리검사 (0) | 2023.06.09 |
심리학-고전적 조건형성 (0) | 2023.06.06 |